계사년(癸巳年)의 첫 해는 아직 뜨지도 않았다
2012년 12월 31일 저녁 11시 59분, 한 해를 마무리 하는 보신각의 종소리와 함께, 새해를 맞이하는 이들은 저마다의 소망을 가슴에 담고 두 손을 고이 포갰습니다. 이와 동시에, ‘계사년 첫 아기 탄생’, ‘계사년의 첫 아침을 맞으며’등 새해를 축복하는 뉴스 기사와 메시지가 인터넷을 뒤덮었습니다.
그러나 양력을 기준으로 하는 한 해의 바뀜에, ‘계사년’이 시작되었다고 하는 것은 우리의 역사와 전통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된 오류임을 지적하고자 합니다.
설은 우리 민족의 정서가 가득한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추석, 한식, 단오와 더불어 4대 명절 중의 하나입니다. 그러나 1910년, 일본에 의한 식민통치가 시작되며 조선총독부는 민족정신 말살의 최우선으로 조선의 명절을 모조리 부정하고 일본의 명절만을 쇠도록 요구했습니다.
그들은 우리의 전통 설 1주일 전부터 방앗간 문을 못 열게 하는 등 온갖 치졸한 방법을 동원하여 그들의 명절인 양력설(신정)을 강제로 쇠게 하였습니다.
하지만 조선 사람들은 양력설을 ‘왜놈 설’이라 칭하고 우리의 전통 설을 독립운동의 심정으로 고수했습니다. 기나긴 우여곡절 끝에 1989년 다시 공휴일로 지정 된 우리의 설은 우리 민족의 애환 바로 그 자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따라서, 미디어에서 무심코 던져대는 ‘계사년 첫날’에 대한 잘못된 상식은 우리 조상들이 그토록 아끼며 지켜오던 우리의 전통과 역사에 대한 무례함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위키피디아 (wikipedia)에 적혀진 내용을 참고하면,
"설날은 새해의 첫 날을 기리는 명절이다. 설, 원일 (元日),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 단월(端月)이라고도 하며, 조심하고 근신하는 날이라 하여 신일(愼日)이라고도 일컫는다.
한국에서는 1896년부터 태양력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양력 1월 1일이 공식적인 새해의 첫날이지만, 음력을 썼던 전통에 따라 음력 1월 1일을 설날로 쇤다.
설날은 해(年)의 한 간지가 끝나고 새 간지가 시작되는 날로, ‘설’은 ‘설다’, ‘낯설다’, ‘익숙하지 못하다’, ‘삼가다’ 등의 의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된다. 유럽이나 아메리카에서는 새해의 첫날을 축제일로서 기념한다." 라고 적혀 있습니다.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안다는 온고지신(溫故知新)의 마음으로, 우리의 역사와 전통에 대해 감사하고 아끼는 마음으로 더욱 소중한 우리의 전통을 만들어 나가기를 기원합니다.
'세계속의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에서 바라보는 한국의 할로윈 (0) | 2014.11.02 |
---|---|
두유 노 김치? 두유 노 지성팍? "국뽕"을 아시나요 (2) | 2014.02.28 |
한국 정부의 "K-Food" 홍보물 본 외국인들이 실소한 이유 (46) | 2013.10.07 |
한식과 일식의 어색한 동거는 언제까지 (2) | 2013.07.02 |
나치는 퇴출, 일제 전범기는 환영하는 미국인들 속사정 (3) | 2013.05.30 |
계사년(癸巳年)의 첫 해는 아직 뜨지도 않았다 (0) | 2013.01.01 |
뉴욕에서 바라보는 한국의 할로윈 (3) | 2012.11.01 |
만약 싸이가 '강남스타일'을 영어로 불렀다면 (0) | 2012.09.25 |
MBC "시시각각"에 외국인들 격분한 이유 (0) | 2012.06.02 |
나는 '코리안' 아니라던 2세들, 한국어 배우는 이유 (4) | 2012.04.20 |
아랍의 한류 팬들이 SBS '스타킹'에 격분한 이유 (95) | 2011.08.15 |